[한국어어문규범] 사이시옷의 규정은 발음을 잘 나타내 준다는 점에서 효용성이 크다고 합니다. 예를 들어 ‘내가’를 ‘냇가’로 적음으로써 [낻까/내까]의 된소리 발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

작성자 정보

  • 셀학요정 작성
  • 작성일

컨텐츠 정보

본문

* 셀학은 과제 작성 대행 하지 않습니다.
찾기 어려운 과제 주제가 있다면 자료요청에 올려주세요.


사이시옷의 규정은 발음을 잘 나타내 준다는 점에서 효용성이 크다고 합니다. 예를 들어 내가냇가로 적음으로써 [낻까/내까]의 된소리 발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. 또한 의미의 차이를 나타내 주는 장점도 있습니다. 예를 들어 나무집(나무로 만든 집)’나뭇집(나무를 파는 집)’을 사이시옷 표기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.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 경우를 전제와 조건으로 나누어 예시와 제시하면서 설명해 보세요.


[한글 맞춤법] 사이시옷 규정

https://kinhakim.tistory.com/2

 

사이시옷의 원리와 적용 방법

https://www.korean.go.kr/nkview/nknews/200006/23_4.htm

 

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

https://m.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dasan11&logNo=120186035055&proxyReferer=https:%2F%2Fwww.google.com%2F

 

사잇소리란 무엇일까요 Tistory

http://cfs3.tistory.com/upload_control/download.blog?fhandle=YmxvZzEwMjc0N0BmczMudGlzdG9yeS5jb206L2F0dGFjaC8wLzEuaHdw&filename=%

 

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 경우

https://news.korean.go.kr/index.jsp?control=page&part=view&idx=9198

 

헷갈리는 사이시옷, ‘장마비일까, ‘장맛비일까

https://eiec.kdi.re.kr/publish/naraView.do?cidx=10444

 

한글맞춤법 제30, 사이시옷의 받쳐 적기

https://m.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quantumkim&logNo=220138434728&proxyReferer=https:%2F%2Fwww.google.com%2F

 

[말숲산책] 혼동되는 '햇님''해님'

http://www.gnnews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258721

 

자릿세(O)/자리세(X), 빠치다(X)/빠뜨리다(O)

http://www.dynews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339385

 

[어문규정 제30]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.

https://cardman.tistory.com/3385

 

관련자료

댓글 0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