09. 대학원 입학시험 준비
컨텐츠 정보
- 3,154 조회
본문
1. 학점
- 대부분의 대학원 입학에서 정해진 학점기준은 없습니다.
- 그러나 서류평가에서 학점이 큰 영향을 미치는 대학원도 있으므로 대학원별로 전형평가방법을 사전에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.
2. 영어
- 대학원 입학에 있어 영어점수를 요구하는 대학원도 있고 요구하지 않는 대학원도 있습니다. 따라서 본인이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원의 요구사항과 평가방법을 살펴보고 준비하시면 됩니다
- 대학에 따라서는 제2외국어 시험을 보는 대학원도 있음을 유의하여야합니다.
3. 전공시험
- 전공분야에 대한 시험문제는 지원하는 대학원의 재학생이나 인터넷 카페 등을 통하여 기존의 시험문제에 관한 개략적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.
4. 면접
- 면접은 입학서류에서 제출하였던 학업 및 연구계획서를 토대로 실시됩니다.
- 면접은 혼자 보는 경우도 있지만 지원자가 많을 경우는 3-5명이 함께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.
- 면접은 대학원과 학과마다 다르기 때문에 지원하는 대학원의 학과에서 필요한 정보를 토대로 준비하면 될 것입니다.
- 특히 면접을 볼 때 본 대학원을 꼭 입학하고 싶다는 의지표현과 성실한 학습자세와 열정, 대학원 과정을 원만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자기표현 등이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.
- 공통 질문
① 본 대학원을 왜 선택하였는가?
② 전공분야를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?
③ 학업에 대한 열의와 자세 등은 어떠한가?
④ 박사과정의 경우 본인의 석사논문의 요지와 향후 계획
5. 학업 및 연구계획서
- 학업 및 연구계획서는 대학원 면접에 있어 의미있는 평가요소가 될 수 있으므로 시간적 여유를 갖고 차분하게 작성하여야 합니다.
- 원서마감을 앞두고 시간에 쫒기면서 갑자기 쓰면 아무래도 좋은 내용이 나오기 어렵죠. 또 대필 등 편법을 쓰게 되면 면접 시 교수들의 질의과정에서 탄로 날 수도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.
- 자기소개서가 주관성이 강하다면 학업계획서는 객관성을 바탕으로 구체적이고 실천 가능한 점을 나타내도록 합니다.
- 즉 대학원에 입학한 후 학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얼마나 체계적이고 충실한 연구계획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내용이 잘 표현되어 있어야 합니다.
- 인터넷 등에서 기존의 여러 예문을 참조하되 진정성 있고 나름대로의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표현하도록 하며, 지원 대학원별의 소정양식과 주제에 맞추어 기술해야 합니다.
1) 학업 및 연구계획서 구성요소
관련자료
-
이전
-
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