03. 대학원 최종 선정 기준
컨텐츠 정보
- 1,160 조회
본문
< 대학원 선정 기준 >
- 대학원의 경우, 여러 개의 대학원에 복수지원이 가능하기 때문에
경우에 따라 여러 개의 대학원으로부터 입학 허가를
동시에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.
- 최종적으로 대학원을 선정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.
1. 전공분야의 교수진
- 대학원은 대학과 달리 각 학과별 연구실(Laboratory)이 여러 개 있고,
또 연구실마다 지도 교수가 있어 대학원생은 지도 교수의 전공과
밀접한 연관을 맺으면서 대학원 과정을 이수하게 됩니다.
- 따라서 대학원 진학에 있어 어떤 전공 분야의 어떤 지도 교수를
선정할 것 인가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.
- 전공 분야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학원 과정의 성공 여부는
지도 교수의 선정이 전부라고도 볼 수 있을 정도로 중요합니다.
2. 전공분야 교수의 인지도와 프로그램의 다양성
- 대학원 선정에 있어 특정한 대학의 명성에만 집착하여
대학원을 선택하는 경우는 종종 있습니다.
- 그러나 국내의 경우, 석사 또는 박사 학위를 취득했느냐 여부가
중요하지 어느 대학원에서 학위를 취득 했는가에 대한 구별은
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경향이 많습니다.
- 즉 우리나라의 경우 출신 학교를 말할 때, 대학원 보다는 대학을
중심으로 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 따라서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특정한
대학의 명성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것보다는 전공분야에 대한 교수의 인지도
와 교육프로그램의 다양성 등을 고려하는 것이 오히려 성공적인 대학원
생활이 될 수 있습니다.
3. 학위취득의 소요기간
- 대학원별, 전공별로 학위 취득에 따른 소요 기간과 학위 취득의 난이도는
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.
- 일부 대학원의 경우 지나치게 학위 수여에 인색하여 중도에 탈락하거나
학위 과정을 수료한 후에도 결국 학위 취득을 못한 대학원이 있는 반면,
어떤 대학원의 경우는 반대로 학위 수여에 비교적 관대한 것으로
나타나고 있습니다.
- 따라서 본인의 학위 취득 목적에 따라 적절한 대학원을 선택하는
지혜가 필요합니다.
- 특히 직장인의 경우 하루라도 빨리 학위를 수여 받을 수 있는
대학원 선택이 중요합니다.
4. 학습과 수업의 난이도
- 전일제 학생의 경우가 아닌 직장인인 경우 현실적으로 대학원 공부에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. 따라서 이 점을 숙지하여 대학원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.
- 지나친 의욕만 앞서 자신의 학습능력과 시간, 대학원 수업의 난이도 등을 고려하지 않고 대학원을 선택하였다가 중도에 포기하거나 학위취득을 못하고 후회하는 경우가 주변에 흔히 있음을 유의하여야합니다.
5. 대학원 소재지
- 만약 삶의 터전이 특정 지역에 뿌리를 둔 경우는 대도시에 있는 대학원 보다는 오히려 지역에 위치한 특정 대학원을 선택하는 것이 향후 지역에서 활동하거나 지역주민과의 인맥관리, 출신 대학원과의 관계형성 등에 유리한 경우가 많습니다.
6. 대학원의 유형
- 일반대학원, 전문대학원, 특수대학원 가운데 어떤 유형의 대학원을 선택할 것인가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. 즉 입학과 졸업, 대학원 과정에 있어 수업과 학습형태, 학위취득요건 등에 여러 차이가 존재함으로 본인의 여건과 학위취득 후 장래의 계획 등을 고려하여 신중한 결정이 있어야 합니다. 특히 여러 대학원 가운데 학위취득에 있어 논문을 작성제출하지 않고 논문대체학점이나 종합시험을 통해서도 석사학위를 수여하는 대학원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.
7. 그 밖의 고려할 사항
관련자료
-
이전
-
다음